페이코인, SDB인베스트먼트로부터 200억 규모 투자 유치

2022. 1. 3. 16:53[ROLLRO 뉴스]/코인 뉴스

반응형

 

페이코인, SDB인베스트먼트로부터 200억 규모 투자 유치

 

 

 


 

 

편의점부터 자동차까지 우리 생활 전반에 걸친 간편 결제 서비스로 가상자산 시장을 선도하는 '페이코인'이 최초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페이 코인의 운영사 다날 핀테크는 SDB인베스트먼트로부터 최근 2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고 3일 밝혔다.

SDB인베스트먼트
코로나 자가진단키트로 유명한 글로벌 진단 시약 선두기업 에스디 바이오센서(SD바이오센서)와 백신 전문 기업 유 바이오로직스 등의 지분을 보유한 전문 투자 기업이다.
2007년 설립 후 최첨단기술의 스타트업 기업과 함께 성장해 현재 3000억 원의 자산 규모로 성장한 투자 전문 기업이다.

 

 

 

 

다날 핀테크의 페이 코인은 출시 2년 만에 전국 10만 가맹점 확대와 250만 사용자 확보하는 등 가상자산의 범용성과 활용 편의성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페이 코인은 라이프스타일 속 다양한 가상자산 서비스를 플랫폼 하나로 구현한 유일한 가상자산으로 세계적 기업들도 완성하지 못한 가상자산 결제 생태계를 3년 만에 구축했다는 점에서 업계는 물론 학계에서 주목하는 모델이다.

 

다날 핀테크는 이번 투자금을 현재 추진 중인 글로벌 시장 진출과 NFT 플랫폼 사업, 메타버스 추진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가상자산을 말한다.
이는 자산 소유권을 명확히 함으로써 게임, 예술품, 부동산 등의 기존 자산을 디지털 토큰 화하는 수단이다
기존의 가상 자산과는 달리 디지털 자산에 별도의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하고 있어 상호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메타버스(Meraverse)
'가상,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가리킨다. 가상현실(VR)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아바타를 활용해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데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 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1992년 미국 SF 작가 닐 스티븐슨의 소설≪스노 크래시≫에 처음 등장한 개념이다.

 

올해 다날핀테크는 페이코인(PCI)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해외 법인 설립 등 해외에서도 페이코인 간편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글로벌 경제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 중심의 디지털 자산 통합 서비스 플랫폼과 최근 대세로 자리 잡은 가상세계 메타버스의 기축통화로 페이 코인을 활용하기 위한 메타 노믹스 통합 전략 등 국내를 넘어 글로벌, 현실과 가상세계를 넘나드는 결제수단으로 확장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다날 핀테크 황용택 대표는 " 이번 투자유치로 가상자산 페이 코인이 가진 가치와 무궁한 가능성을 증명하게 된 것"이라며 "이를 원동력으로 간편 결제뿐만 아니라 가상자산 금융서비스, NFT, 메타버스 등 가상자산 활용의 저변 확대와 함께 미래 디지털 금용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페이코인 주요 결제처

 

 

*자료출처

이투데이 22.01.03 안경무 기자

 

http://www.danalfintech.com/

 

페이코인

 

www.danalfintech.com

 

감사합니다!

성투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