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억뷰 찍은 카카오엔터 IP '나혼렙' NFT로 나온다

2022. 1. 8. 13:21[ROLLRO 뉴스]/NFT 뉴스

반응형

142억 뷰 찍은 카카오 엔터 IP '나혼렙' NFT로 나온다

[카카오 엔터테인먼트]기업개요
2021년 3월 2일, 카카오 페이지와 카카오 M의 합병으로 탄생한 카카오의 종합 콘텐츠 자회사이다. 웹툰 · 웹소설 유통, 음반 · 음원 유통, 연예 매니지먼트, 컨텐츠 제작 및 유통 그리고 소셜커머스까지 아우르는 문화 · 미디어 공룡이다.


카카오 엔터 테인먼트(카카오 엔터)가 글로벌 142억 뷰를 기록한 슈퍼 IP(지식 재산권) '나 혼자만 레벨업(나혼렙)'을 NFT(대체 불가능 토큰)로 출시한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은 IP 나혼렙과 미래 자산으로 각광받는 NFT 결합으로 시너지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카카오 엔터는 나혼렙 NFT가 그라운드X가 운영하는 한정판 디지털 작품 유통 서비스 '클립 드롭스(Klip Drops)'를 통해 오는 12일 오전 9시부터 12시간 동안 판매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나혼렙 관련 NFT는 메인 작품과 서브 작품 총 두 작품으로 발매된다. 디지털에서 거래되는 NFT의 특성을 활용, 한정판 프리미엄 극대화를 위해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작됐다.

IP(지식 재산권)
지식재산권은 게임 같은 지식 재산에 대한 권리를 뜻한다. 게임 업계에서는 자사의 지적재산권 활용은 물론, 다른 장르 다른 작품의 지적 재산권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다.
지적 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이란 표현물이나 발명품 등 '지식 재산'에 대한 권리를 뜻한다. 한국에서는 주로 영어 약자인 'IP'라는 표현과 함께 지적 재산권이란 용어가 주로 쓰이나, 2011년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출범에 따라 법률 용어가 '지식재산권'으로 통일되었다.

나 혼자만 레벨업(나혼렙)
전 세계 독자가 열광한 레이드 액션의 진수! 다수 글로벌 플랫폼에서 웹툰 연재, 미국, 독일, 브라질,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일본, 프랑스 등지에 단행본 수출! 프랑스 아마존 도서 종합 2위, 프랑스 · 독일 · 브라질 아마존 만화 1위, 일본판 3, 4권 발매와 동시에 오리콘 차트 진입 최약체에서 최강 헌터로, 세상의 중심에 서다!
정식 출간 이전부터 세계 각국 글로벌 팬덤이 형성될 만큼 한국 문화 콘텐츠의 저력을 입증한 작품이다.

NFT(대체 불가능 토큰)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가상 자산을 말한다.
이는 자산 소유권을 명확히 함으로써 게임, 예술품, 부동산 등의 기존 자산을 디지털 토큰화 하는 수단이다.
기존의 가상 자산과는 달리 디지털 자산에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고 있어 상호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클립 드롭스(Klip Drops)
클립 드롭스는 미술 작품과 굿즈를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작품을 큐레이션해 유통하는 서비스다.
카카오 블록체인 계열사인 그라운드 X는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Klip)'에서 소위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 불리는 한정판 디지털 작품을 전시하고 유통하는 '클립 드롭스(Klip Drops)'를 오픈했다.
출처 : 테크 M

메인 작품은 지난해 12월 30일 카카오 페이지와 카카오 웹툰에서 단독으로 공개된 나혼렙 최종화 마지막 장면이다. 세상을 구원한 주인공 성진우가 히로인 차해인을 마주하는 모습을 담았다. 메인작 NFT는 총 100개가 발행되며 한 작품당 암호 화폐 클레이(KLAY) 500 코인으로 구매할 수 있다.

클레이(KLAY)
카카오 자회사 그라운드 X에서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기반의 암호화폐.
각종 게임 · 금융 · 콘텐츠 이용을 통해 보상으로 받을 수도 있고, 타인으로부터 선물로 받을 수도 있다. 이렇게 모인 클레이는 다시 여러 온라인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현금처럼 낼 수 있다.

2019년 6월 최초 발행량 100억 개로 메인넷 사이프레스에서 론칭했으며 당해 9월 26일 업비트 인도네시아에 상장됐다.

카카오가 만든 가상화폐 전자지갑 '클립(Klip)'에서 사용된다.


서브 작품은 나혼렙 172화 한 컷을 애니메이션화했다. 강력한 적을 차례차례 무찌르며 작품 내 최강의 헌터러 거듭난 성진우의 아우라가 담긴 장면이다. 연재 당시 글로벌 팬들에게서 큰 환호를 받았던 부분이다. 총 200개의 NFT가 밸행되며 100클레이 코인으로 판매된다. 나혼렙 NFT를 구매한 유저는 NFT를 클립 드롭스 내 마켓에서 다른 유저들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다.

카카오 엔터와 그라운드 X가 처음 협업한 이번 프로젝트는 카카오 공동체 사이 시너지를 내는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고 카카오 엔터 측은 설명했다. K웹툰 나혼렙과 대표적인 디지털 자산 NFT가 결합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는 설명이다.

K웹툰
K-웹툰, 2020년 웹툰 강국으로 부상한 '대한민국의 웹툰 시장과 산업계의 발전 현상 혹은 세계적인 인기 열풍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2020년 봄 이후부터 한국의 국내 언론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세계 1위 만화 시장을 가진 일본도 K-웹툰의 진출을 허용했고 세계 2위 만화시장을 가진 미국도 인기 흐름에 동참했다.


한편, 카카오 페이지에서는 나혼렙 완결을 기념해 이날 오후 10시까지 나혼렙 20화를 열람한 모든 유저에게 캐시 1억원을 나눠 지급하는 감사 이벤트를 진행한다. 나혼렙 NFT를 선보이는 클립 드롭스는 카카오톡에 마련된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Klip)에서 확인할 수 있다.

클립(Klip)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인 그라운드 X가 개발해 2020년 6월 선보인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은 암호화폐 '클레이'를 보관, 송금, 거래할 수 있다. 클립에서는 SNS, 게임, 쇼핑 등 클레이튼에 참여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에서 획득한 디지털 자산을 보관할 수 있고 보유 자산을 카카오톡 친구에게 보낼 수도 있다.
클레이를 비롯해 볼트, 빈즈, 식스, 위켄, 인슈어리움 등 17종의 암호화폐를 지원하고 있다.

그라운드 X는 클립에 담을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의 종류를 지속적으로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클립을 이용하려면 카카오톡 화면 오른쪽 맨 아래의 '더보기' 탭(···) 모양을 누른 다음 '전체 서비스'로 들어가 '클립'을 선택하면 된다. 회원가입과 로그인 역시 카카오 계정을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이용약관 동의를 거치면 곧바로 개인 지갑이 생성되고 클립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 엔터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142억 뷰라는 놀라운 기록을 쓴 나혼렙과 디지털 자산 대표 토큰 NFT는 글로벌, 희소성, 프리미엄 같은 공통의 키워드를 가지고 있담"며 "특히 이번 나혼렙 NFT는 영화, 드라마, 게임, 애니메이션 등 기존 웹툰 2차 창작 트렌드를 또 한 번 질적으로 혁신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카카오 엔터테인먼트는 업계 최선두에서 IP와 신기술 융합에 매진해 개별 IP 라이프 사이클을 크게 늘리고, 동시에 산업 규모를 한 단계 더 도약시키겠다고" 덧붙였다.

*자료출처
파이낸셜 뉴스 2022.01.07
김준혁 기자님의 기사입니다.

142억뷰 찍은 카카오엔터 IP '나혼렙' NFT로 나온다

[파이낸셜뉴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엔터)가 글로벌 142억뷰를 기록한 슈퍼 IP(지식재산권) '나 혼자만 레벨업(나혼렙)'를 NFT(대체불가능토큰)로 출시한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

www.fnnews.com


HAPPY ROLLRO 투자연구소 인기글

(리포트 요약) 카카오게임즈 오딘 전망치 대폭 미달 vs NFT, 메타버스 잠재력

(리포트 요약) 카카오게임즈 오딘 전망치 대폭 미달 vs NFT, 메타버스 잠재력 카카오게임즈 [기업개요] 동사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 오톡'과 포털 'DAUM' 서비스를 활용하여 모바일 게임과 PC

muktraveler.tistory.com

비트코인 하락세 "10만 달러 넘을 것" 긍정 전망도

비트코인 하락세 "10만 달러 넘을 것" 긍정 전망도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시세 하락세가 이어지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가상화폐 전망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잇따르고 있다. 비

muktraveler.tistory.com

[파이낸셜뉴스]금융업계 CEO들, 2022 신년사로 가상자산, NFT 신성장동력 '낙점'

[파이낸셜뉴스] 금융업계 CEO들, 2022 신녀사로 가상자산, NFT 신성장동력 '낙점' 새해 주요 금융사 CEO(최고경영자)들이 신년사를 통해 속속 가상자산 사업을 주장하고 나섰다. 국내 가상자산

muktraveler.tistory.com

감사합니다!

성투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