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요약)티움바이오 주가 전망 목표주가, 꾸준히 성장 중

2022. 8. 22. 18:34[ROLLRO 한국주식 리포트]/제약 · 바이오

반응형

(리포트요약)티움바이오 주가 전망 목표주가, 꾸준히 성장 중

 

[티움바이오]기업개요
동사는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연구개발하는 기업이며 합성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양 분야의 신약 창출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음.
 
국내 바이오신약으로는 최초로 미FDA 승인을 받은 혈우병 치료제 '앱스틸라'의 핵심 연구진이 바이오신약을 연구개발중.
 
2021년 5월 CDO(Contract Development Organization) 전문 회사인 프로티움사이언스를 신규 설립.
 
출처 : 에프앤가이드
투자의견 현재주가(8월 18일) 목표주가 상승여력
Not Rated 17,000 원 - -

 

  • R&D update: TU2218 키트루다 병용임상 4분기 개시 기대
  • CDO 자회사 프로티움, SK플라즈마 전략적 투자 재평가 전망
  • 지금이면 한번 봐도 될 시점. 꾸준히 좋아질 바이오텍

 


꾸준히 성장 중

 

1. R&D update: TU2218 키트루다 병용임상 4분기 개시 기대

TGF-βR1(ALK5)와 VEGFR2 이중 저해제 TU2218의 임상은 계획 대로 순항중이다. 단독 용량상승시험의 코호트 2까지 환자 등록을 완료해 9월부터 3번째 코호트 시작이 예상된다. 코호트 1부터 유효성을 보인 환자가 나왔다는 점에서 향후 긍정적인 업데이트를 기대해본다.

 

면역항암제 키트루다 병용임상은 빠르면 4분기에 시작될 전망이다. 지난 6월 MSD와 키트루다 무상 지원 계약을 체결했다. 병용임상에 대한 데이터는 내년 주요 학회에서의 확인이 기대된다. 지난 2월 파트너십을 체결한 베이진의 티슬리주맙 병용임상은 내년 시작될 예정이다.

 

최근 한소제약에 자궁내막증 치료제 TU2670의 중국 지역 상업화 권리를 총 2,200억원 규모로 기술이전했다. 아직 국내, 중국 지역 외 글로벌 판권을 보유하고 있다. 임상 2a상이 종료가 예상되는 2023년 중순 나머지 지역에 대한 기술이전도 기대 가능하다. 적응증따라 다르지만 보통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 규모는 중국 지역 금액 대비 2~3배 수준을 형성한다. 또한 최근 경쟁 약물 린자골릭스가 FDA로부터 문제가 제기되면서 미국 허가 시점이 불투명해졌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2. CDO 자회사 프로티움, SK플라즈마 전략적 투자 재평가 전망

자회사 프로티움을 통해 작년부터 신사업으로 CDO 사업을 시작했다. 우수한 연구 인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트랙레코드를 쌓고 있다. 본궤도에 오른다면 현재 설비 수준으로 분석서비스를 포함해 연간 200억원 이상의 매출 시현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SK플라즈마도 향후 신약 개발 사업을 통한 재평가가 기대된다.

 

 

 

3. 지금이면 한번 봐도 될 시점. 꾸준히 좋아질 바이오텍

8월 9일 한소제약과 기술이전 체결 후 당일 주가가 급락했다. 이유는 상장 이전에 투자했던 기관 물량 출회에 따른 하락으로 추정된다. 이번 일로 2대 주주를 제외한 상장 이전 투자 기관 오버행 이슈는 전부 해소됐다. 현 시점은 주력 파이프라인들의 임상이 본격화되고 신사업 모멘텀도 본궤도의 초입에 들어서는 시기다. 이미 작년 증자를 통해 자금을 확보했다는 점과 전환가액을 고려할 때 당분간 자금적인 리스크도 없다. 지금이면 다시 한번 볼 시점으로 판단된다.

 

*자료출처

2022.08.19

신한금융투자 기업분석부

장세훈 책임연구원님과

이동건 수석연구원님의

티움바이오 기업분석 리포트입니다

 

 

티움바이오 :: 행복과 희망을 전하는 TIUMBIO

 

www.tiumbi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