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4. 23:50ㆍ[ROLLRO 한국주식 리포트]/전기전자
(리포트 요약) KCC 실리콘의 영업가치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시총
[KCC] 기업개요
동사는 국내 최대의 건축자재 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8년 금강 스레트 공업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이후 케이씨씨로 상호 변경함.
수익 창출하는 용역의 성격에 따라 주요 영업부문을 건자재, 도료, 실리콘, 기타 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음.
건자재 부문은 PVC, 석고보드 등이 있으며 도료 부문은 선박용, 자동차용 도료로 구분됨.
동사는 건축자재의 내장재 및 보온단열재 대부분 품목에서 동종업계의 선두 위치를 확보하고 있음.
출처 : 에프앤가이드
1. 4Q21 영업이익 컨센 13% 상회, 2022년 사상 최대 실적 전망
4Q21 영업이익은 1,439억 원(QoQ + 20%, YoY + 184%)으로 컨센을 13% 상회할 전망이다. 2022년 영업이익은 6,112억 원(YoY+33%)으로 사상 최대치를 추정한다. 실리콘의 높은 이익 창출력 덕분이다. 실리콘은 3Q21 원가 상승(QoQ + 300%)을 상회하는 판가 인상으로 최초로 10%대 OPM이 추가 개선된다. 원가 급락(QoQ - 40%)에도 일부 고부가 제품군을 중심으로 판가가 인상되었기 때문이다. 실리콘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23% 증익된 것으로 추정된다.
4Q21(Q = Quarter, 분기)
2021년 4분기
QoQ(Quarter on Quarter)
전분기 대비 증감률
YoY(Year on Year)
전년 대비 증감률
OPM(Operating Profit Margin)
영업이익률
기업의 영업이익을 순매출로 나눈 영업이익률을 뜻한다.
* OPM이 증가할수록 기업은 좋다.
2. 적용 어플리케이션 증가 : 2022년 EV향 매출 확대에 주목
실리콘은 배터리 소재 및 EV 부품/차체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내연차 대비 4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리콘은 EV 전환에 요구되는 특성을 두루 갖춰, EV 전환을 현실화하고 그 보급을 앞당길 수 있는 소재이기 때문이다. 실리콘은 차체의 코팅/봉지/커플링 등에 활용되며, 차량 구성품 간 점/접착 등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EV의 모터/파워트레인에 적용되어 방열/전자파 차폐/경량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차세대 음극 소재에도 적용된다. KCC는 도료사업을 함께 영위하는 만큼 실리콘 하드코트 제품군에 뛰어난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한다. 실리콘 하드코트는 무거운 배터리를 탑재한 EV의 경량화를 가능케 하는 소재다. 하드코트 적용으로 차체에 간판 대신 가벼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채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EV(Electric Vechicle)
전기 자동차
* 본 리포트에서 의미하는 EV는 전기자동차를 뜻한다
3. TP 60만 원으로 상향. 실리콘 영업가치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TP를 55만 원에서 60만 원으로 상향한다. 시장 예상보다 높은 실리콘의 실적 기여도에 더해 투자유가증권의 가치를 반영한 영향이다. 밸류에이션 기간 또한 2022년으로 변경했다. KCC가 보유한 삼성물산/한국조선해양 지분가치는 시가 기준 2.4조 원을 상회한다. 현재 KCC 시총 2.8조 원에는 모멘티브 인수(3.5조 원을 인수대금)에 따른 영업가치 상향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상태다. 반면, 2022년 실리콘의 고부가 제품으로의 Mix 전환 및 건자재/도료의 호실적을 기반으로 사상 최대 실적 시현이 예상된다. 장 확대라는 내러티브가 반영될 가능이 높은 구간임을 감안하면 현 주가는 절대 저평가된 것으로 판단한다.
TP(Target Price)
목표 주가
삼성물산
동사는 1938년 설립되었으며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합병하였음.
건설/상사/패션/리조트/급식, 식자재 유통/바이오산업을 아우르는 Global Business Partner 및 Lifestyle Innovator로 더욱 성장해나가고 있음.
매출 비중은 21년 말 상반기 기준 건설부문 33.2%, 상사부문 49.3%, 패션부문 5.3%, 리조트 부문 1.5%, 급식/식자재 유통 6.7%, 바이오 부문 4.1% 을 차지
출처 : 에프앤가이드
한국조선해양
지주회사로 다른 회사를 지배함과 동시에 미래기술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로는 현대중공업, 현대상호 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이 있음.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Hyundai-Vinashin Shipyard 등 종속기업을 포함하여 조선부문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매출은 조선 85.45%, 엔진기계 4.66%, 해양플랜트 4.30%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출처 : 에프앤가이드
4. 실리콘으로 가는 Electric Vechicle
1) EV 전환/보급에 필수적인 실리콘
실리콘은 EV 전환을 현실화하고, 그 보급을 앞당길 수 있는 소재다. EV 전환에 요구되는 특성을 두루 갖췄기 때문이다. 현재, 실리콘은 배터리 소재 및 차량 부품/차체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EV의 고도화에 따라 그 사용량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2) 실리콘의 우수한 물성 특성
실리콘은 내화학성, 낮은 표면장력, 고온 안정성, 낮은 전도도, 방수 및 윤활 특성을 갖춰 EV전환에 필수적인 차량의 경량화 및 내구성/안정성 확보 및 효율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차체 코팅/봉지/커플링 등에 활용
4) 차량 내부 점/접착 등에 활용
5) 모터에 적용하여 방열/전차파 차폐/경량화 역할 수행
6) 파워트레인에 적용 시 전력 효율 개선 효과
파워트레인은 전기차의 3대 핵심 부품으로, 구동 효율과 주행거리를 결정한다. 실리콘은 파워트레인의 방열, 봉지/포팅 및 씰링 재료로 사용된다. 실리콘 적용 시 파워트레인의 에너지 손실이 큰 폭으로 줄어 전력 효율이 개선된다. 타 소재 대비 성능 특성이 우수하고 가볍기 때문이다. 파워트레인에 필수적인 성능 특성은 열을 분산하고, 충격과 부식에 강하며, 전류를 잘 차단하는 것이다. 실리콘은 해당 성능 요구 조건에서 타소재 대비 월등한 퍼포먼스를 보인다.
7) 방열 기능뿐 아니라 설계 상 이점 또한 확보
파워트레인을 구성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인버터/컨버터 등)의 고전력 밀도 구현을 위해선 방열부의 기능 및 구조 설계가 가장 중요한데, 실리콘 적용 시 방열 기능 및 구조 설계의 자유도를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방열 효율이 높으며 크기/중량의 최소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8) 일렉트릭 액슬은 차량의 구조를 크게 바꾸지 않고도 전동 화가 가능하다는 장점
*이미 포르셰와 BMW, 볼보 등 주요 OEM 몇 년 전부터 채택
9) 배터리 모듈/팩의 방열시스템에 적용
배터리 시스템은 고전압으로 운영되기에 고내열/방열 설계가 필수적이다. 실리콘은 접착제/봉지재/폼/코팅제의 형태로 배터리팩/모듈의 방열 시스템에 적용된다. 실리콘은 열산화 및 전기 특성이 안정적이며, 작동 온도 범위가 넓어 발열로 인한 고장 및 폭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 셀 사이에 실리콘을 충전하면, 방열뿐 아니라 충격 흡수 및 전류 차단이 가능해 배터리 모듈의 작동 환경이 안정화된다.
10) 접착제/봉지재/폼/코팅제의 형태
11) 배터리 모듈 방열에 사용
12) 차세대 음극 소재 적용
실리콘은 차세대 배터리 소재에도 적용된다. 실리콘을 배합한 음극재는 기존 흑연 음극재의 성능 특성을 보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은 흑연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약 10배나 높고 충방전 속도로 빠르다. 실리콘 업체 Elkem은 Upstream 경쟁력을 바탕으로 실리콘 음극 사업에 진출했다. 참고로 SKC가 지분투자를 단행한 영국의 실리콘 음극재 회사 Nexeon의 특허를 살펴보면, Momentive의 실리콘을 사용해 연구 개발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KCC의 소재 경쟁력과 글로벌 OEM 네트워크를 활용한 관련 분야 진출이 기대되는 바이다.
13) Upstream 소재 경쟁력을 바탕으로 실리콘 음극재 사업 진출
14) Nexeon 실리콘 음극 연구에 Momentive 실리콘 채택
15) 실리콘 하드코트 적용으로 차체의 내구성 확보 가능
16) 하드코트는 차량 전체에 사용
17) 우수한 방열 성능 특성으로 방열 설루션에 적용
차량 전장부품의 소형화/집적화 심화로 열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부품 수명 및 성능 보존을 위한 방열 설루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실리콘은 방열 시스템인 냉각수 히터 및 펌프에 봉지, 커넥터 포팅, 방열 및 씰링 접착 재료로 사용된다.
18) 구동 장치 방열에 사용
19) 방열 갭필러/접착제, 포팅/겔 봉지, 씰링 접착제 등의 형태로 사용
20) 냉각수 히터 및 펌프에 적용
4. 실리콘의 다변화된 전방 산업과 수요 성장 동력
1) 향후 전자전기/EV향 신규 수요 대폭 확대 전망
2) KCC는 고성장/고부가 전방인 EV/전자전기 향 제품에 집중할 계획
3) 실리콘 전방 산업별 적용 사례
건설
이형 구조물의 접합부 혹은 이음매를 메우는데 실리콘이 적용됨
건축물 내구성 증진을 위한 발수/실링/코팅/고무 성형 재료로 사용. 절연/가스 투과/화학적 안정성/내열/내한 특성 우수 마천루에는 실리콘을 첨가한 고성능 구조용 강재가 적용
자동차
내후성 및 낮은 압축 변형 특성으로 다양한 씰링, 접착 및 절연 용도에 사용
실리콘은 가스킷,O링, 호스, 점화 플러그 부트, 다이어프램, 커넥터 씰, 배기 행어, 연로 시스템 밸브, 파워트레인 등에 작용
EV 보급으로 실리콘 책택률은 3~4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EV는 배터리 무게만 200kg에 달해 부품 경량화가 필수적.
실리콘은 경량, 강도, 높은 내식성과 효율성으로 자동차 내구성/연비 개선 및 배출가스 저감에 도움
한국 다우케미칼 대표는 '차량 연비 개선 및 수명 연장을 위해 자동차 기업들은 경량화 노력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그 결과 실리콘이 기존 물질을 대체하고 있다. 실리콘의 높은 열 안정성과 온도 내성은 신 에너지 차량 제조사 및 배터리 제조사가 열 관리 시스템과 관련해 직면하는 주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고 언급
EV의 고하중을 버틸 수 있는 타이어 역시 중요. 모멘티브는 실리카 타이어 컴파운드용 커플링제 브랜드 NXT 실란 개발.
해당 제품은 가벼울 뿐 아니라 점도 및 복원력이 높아 노면 제동력을 개선하고 회전저항을 낮춰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어 친환경 타이어로 각광
코팅/도료
실리콘 코팅/도료는 자외선, 열, 화학, 용매 및 마모 저항성 여러 소재의 기판에 대한 접착 특성이 뛰어나 실리콘 코팅/도료 적용 시 제품 수명이 늘어나며 유지보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
특히, 건축용 외벽 도장에 많이 쓰이는 실리콘 페인트는 방수성이 뛰어난 실리콘의 성질을 이용해 바탕면에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최근 해상운송/산업 코팅 등에서 실리콘 수요가 증가
Personal care
계면특성 및 윤활성, 발수성, 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은 Personal care 분야에서 유지를 대체해 사용
실리콘 오일 적용 시 가벼운 사용감, 휘발 감, 발수성 조절 및 광택 부여가 가능해 더 나은 사용감 제품 설계 가능 주요 업체들은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하여 Personal care향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언급. 코로나 확산세 완화로 인한 외출 및 대면 활동 수요 증가가 배경
5G
실리콘 제품은 광학 점착, 몰딩 접착, 열 방출, 전극 보호, 전자파 간섭 차폐와 같은 기술에 광범위하게 사용
통신장비의 소형 집적화에 따른 열관리 중요성 부각
실리콘은 열방출에 효과적인 고성능 방열 소재로 5G 소재 채택 비율 대폭 상승
*자료출처
하나금융투자 22년01월04일 Analyst 윤재성 님의 리포트입니다.
https://www.kccworld.co.kr/
www.kccworld.co.kr
감사합니다!
성투합시다!
'[ROLLRO 한국주식 리포트] >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포트요약)핌스 주가 전망 목표주가, 고객사 다변화 원년 (0) | 2022.02.23 |
---|---|
(리포트 요약) 덕산네오룩스 주가 전망 목표주가 (0) | 2022.02.17 |
(리포트 요약)이엠텍 주가전망, 숨겨진 보석! (0) | 2022.01.25 |
(리포트 요약)삼성 SDI 주가전망, LG에너지솔루션 상장 계기로 저평가 매력 부각 (0) | 2022.01.23 |
(리포트 요약) 삼성전기 주가 전망, 재고 조정 단기 마무리. 영업 환경은 양호 (0)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