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요약)삼성 SDI 주가전망, LG에너지솔루션 상장 계기로 저평가 매력 부각

2022. 1. 23. 22:33[ROLLRO 한국주식 리포트]/전기전자

반응형

(리포트 요약) 삼성 SDI 주가전망, LG에너지솔루션 상장 계기로 저평가 매력 부각

 

 

[삼성 SDI] 기업개요
동사는 삼성그룹에 속한 계열회사임. 1970년 삼성-NEC 주식회사로 설립됨. 1999년 상호를 삼성SDI로 변경함.

주요 사업은 에너지솔루션 부문과 전자재료 부문으로 분류됨. 에너지솔루션 부문은 중, 대형 전지 등을 생산해 판매함. 전자재료 부문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제조, 판매함.

2000년 리튬이온 2차 전지 사업을 시작한 이래 품질 개선,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해 노력해 온 결과 현재까지 업계 선두권을 유지함.

출처 : 에프앤가이드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 후 시가총액이 100조 원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은데, 100조 원으로 가정한다면, 삼성 SDI의 시가총액은 LG에너지솔루션의 1/2, CATL의 1/5에 불과하다. 삼성 SDI의 배터리 기술과 경쟁력은 업계 선두권으로 평가하며, 3사간 시가총액 격차가 과도해 보인다. Gen 5 배터리와 미국 시장 진출 등을 통해 시장 지위 격차를 줄일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을 살 수 없다면 삼성SDI를 사는 건 어떨까?

 

 


 

1. LG에너지솔루션 및 CATL 대비 과도한 저평가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계기로 동사 기업가치의 저평가 매력이 부각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시가총액은 100조원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은데, 100조 원으로 가정할 경우, LG에너지솔루션과 비교해 삼성 SDI의 시가총액은 48%, PER은 21%에 불과하다. 이에 비해 2022년 기준 전사 매출액은 75% 수준이고, 영업이익과 EBITDA는 각각 141%, 105%로 삼성SDI가 앞선다.

배터리 사업만 비교하면, LG에너지솔루션에 비해 삼성 SDI의 매출액은 62%, 영업이익은 90% 수준이다.

CATL은 시가총액 250조원, 22년 PER 67배를 부여받고 있다. 삼성 SDI는 시가총액 48조 원, PER 29배이다. CATL에 비해 삼성 SDI의 전사 매출액은 46%, EBITDA 44% 수준이다.

LG에너지솔루션
2020년 12월 LG화학에서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할해서 설립한 기업이다.

시가총액
상장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주식시장에서 평가되는 그 주식의 가치이다. 전체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은 그 주식시장의 규모를 나타내며, 한 나라 경제 크기의 측정치로서 경제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즉, 국밍총생산(GNP)과 비교할 때 국민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주식시장의 비중을 알 수 있고, 경제성장률과 시가총액 증감률 비교를 통해서는 주식시장 성장이 경제성장에 얼마나 선행하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비율(PER)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나눈 것이다. 즉 어떤 기업의 주식 가격이 10,000원이라고 하고 1주당 수익이 1,000원이라면, PER는 10이 된다.
쉽게 말하면, 현재의 주가가 고평가 받고 있는지 저평가받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이다.

EBITDA(Earning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EBITDA는 기업이 영업 활동으로 벌어들인 현금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EBITDA는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실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잣대로 쓰인다. 또한 EBITDA는 국가 간 또는 기업 간 순이익이 상이하게 계산되는 요인(세제의 차이 등)을 제거한 후, 기업의 수익창출 능력을 비교할 수 있는 지표로 널리 활용된다.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2011년 쩡위천이 두 번째로 설립한 중국의 배터리 제조 회사
중국 내에서 BYD와 경쟁관계이고 대외적으로 파나소닉,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와도 경쟁한다.

베이징자동차와 상하이자동차, 창안자동차 등 중국내 업체는 물론 BMW, 폭스바겐, 닛산 등에도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중국 합작법인회사인 베이징현대도 CATL의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2. 배터리 기술 및 잠재 경쟁력은 업계 선두권

동사가 생산능력과 수주잔고 면에서는 CATL 및 LG에너지솔루션과 격차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에너지 밀도, 장수명, 고속 충전 등 배터리 기술은 업계 선두권이며, 소재 및 공정 기술에서 앞서 있다고 판단된다. 원형전지ESS 경쟁력은 글로벌 1위다.

지난해 3분기 말부터 생산하기 시작한 Gen 5 배터리를 계기로 에너지 밀도를 20% 높이고, 원가를 20% 낮출 수 있게 됐다. 하이니켈 NCA 양극재와 실리콘 음극재를 선제적으로 채용하기 시작했다. 올해 Gen 5 고객 수 와 모델 수가 늘어나면서 매출 비중이 15%까지 확대되고, 수익성 개선을 수반할 것이다.

동사는 2024년까지 중대형 전지 생산능력을 연평균 30~40% 증설할 계획이고, 매출액도 동일한 속도로 성장할 것이다. 2025년부터는 Stellantis와 미국 합작법인 성과가 더해져 더욱 빠른 속도로 도약할 전망이다.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전지 시대가 도래하면, 황화물계 소재를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CATL 및 LG에너지솔루션과 시장 지위 격차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한다.

원형전지
오래 사용할 수 있지만 충전은 할 수 없다. 건전지 수명이 다 돼서 추가로 구입 시 가격은 저렴하나 일반 건전지만큼 구입이 쉽지 않다. 버튼 모양으로 생겨서 버튼 전지라고도 불리는 리튬전지다.

ESS(Energy Storage System)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에서 불규칙적으로 생산된 전력을 충전, 저장해 놨다가 필요한 순간 전기를 쓸 수 있게 해주는 장치다. 전력 피크가 아닌 시간대에는 전력을 저장해 두고, 피크 외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다.

Gen 5 배터리
삼성 SDI의 차세대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 
Gen 5 배터리에는 삼성 SDI만의 최신 소재 기술이 집대성됐다. 주행거리 향상과 연결되는 고용량 기술이 핵심이다. 혁신적인 소재 기술과 신공법이 적용돼 에너지 밀도 20% 이상 높이면서도 재료비는 약 20% 이상 절감됐다.

 

  • 삼성 SDI, CATL, LG에너지솔루션 주가지표, 실적, 경쟁력 비교

 

  •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추이

 

  •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변화

 

  • 삼성SDI 실적 전망

 

*자료출처

2022년 01월 21일 키움증권

Analyst 김지산 님의 리포트입니다

 

삼성SDI 공식 사이트

WE VALUE AND RESPECT PEOPLE 인재에 가치를 부여하고 존중합니다

www.samsungsdi.co.kr

 

 


 

 HAPPY ROLLRO 투자연구소 인기글 

 

 

 

(리포트 요약) 쏠리드 주가 전망 실적 회복 가시화 국면, 과도한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

(리포트 요약) 쏠리드 주가 전망 실적 회복 가시화 국면, 과도한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 [쏠리드] 기업개요 1998년 11월 5일에 설립되어 이동통신 및 유선통신 관련 네트워크 장비의 제조

muktraveler.tistory.com

 

 

(리포트 요약) KCC 실리콘의 영업가치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시총

(리포트 요약) KCC 실리콘의 영업가치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시총 [KCC] 기업개요 동사는 국내 최대의 건축자재 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8년 금강 스레트 공업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이후

muktraveler.tistory.com

 

 

(리포트 요약) 한미반도체 주가 전망, 4Q21 잠정 실적 기대치 부합

(리포트 요약) 한미반도체 주가 전망, 4Q21 잠정 실적 기대치 부합 [한미반도체] 기업개요 190년 설립후 제조용 장비의 개발 및 출시를 시작함. 최첨단 자동화 장비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생산장비

muktraveler.tistory.com

 

 

(리포트 요약) 포스코 주가 전망, 사상 최대 실적을 뒤로 하고...

(리포트 요약) 포스코 주가 전망, 사상 최대 실적을 뒤로하고... [포스코(POSCO)] 기업개요 동사는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단일 사업장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인 포항제철소와 광

muktraveler.tistory.com

 

 

 

감사합니다!

성투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