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요약)LG유플러스 주가전망 목표주가, 2Q 실적 시즌 돌입 전 매수, 8월 16,000원까지 오를 수 있다

2022. 6. 10. 14:34[ROLLRO 한국주식 리포트]/통신 · 통신장비

반응형

(리포트요약)LG유플러스 주가전망 목표주가, 2Q 실적 시즌 돌입 전 매수, 8월 16,000원까지 오를 수 있다

[LG유플러스] 기업개요
동사는 LG그룹 계열사로 1996년 설립됐음.
 
동사는 모바일과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슈머 사업과 기업인프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엘지헬로비전, 미디어로그, 씨에스리더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매출은 LG유플러스 통신 및 기타매출 73.3%, LG유플러스 단말기 판매 19%, 엘지헬로비전 통신 및 기타매출 6.7%, 엘지헬로비전 단마기 판매 1% 등으로 구성됨.
 
출처 : 에프앤가이드
투자판단 현재주가 목표주가
BUY(매수) 13,750원 20,000원

 


 

1. 매수/TP 2만원 유지, 3사 중 올해 가장 늦게까지 주가 오를 듯

LGU+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12개월 목표가 20,000원을 유지한 다. 또 6~7월 통신서비스업종 내 Top Pick으로 제시한다. 추천 사유는 1) 2분기 어닝 시즌을 맞이하여 우수한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 재차 LGU+의 안정적 이익 성장에 대한 투자가들의 기대감 이 높아질 전망이고, 2) 아직은 LGU+의 DPS 성장 기대감이 낮지만 상반기 실적이 발표되고 나면 2022년 DPS 650원에 대한 신뢰 감 상승과 더불어 주가 정상화 과정이 이루어질 것이며, 3) MNO 위주의 가입자 유치 전략은 성장에 목말라 있는 LGU+ 주주들의 갈증을 해소시켜줄 전망이고, 4) 최근 주가 부진으로 인해 경쟁사 대비 LGU+의 상대적 저평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DPS(Devidend Per Share)
주가배당금, 배당금 총액을 총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지급되는 배당금을 의미합니다.
주식을 1주라도 소유하고 있다면, 배당금을 받을 자격이 주어집니다. 본인이 보유한 주식 수에 따라 1주당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 주는 값이 DPS입니다.
통상적으로 우량하고 좋은 기업일수록 높은 배당금을 주지만, 반대로 회사의 자금 상황이 좋지 않아 일시적으로 배당금을 높게 측정해 투자자를 유입해 자본을 보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배당금에 대해서는 다소 비판적인 시선을 가질 필요도 있을 것 같습니다.
DPS 계산방법 = 배당금총액 / 발행주식수

MNO(Mobile Network Operator)
'이동 통신망을 가진 사업자'
이동통신망을 보유한 사업자들로는 'SKT, KT, LG U+'와 같은 통신 업체들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2. MNO 강화에도 비용 부담 감소 예상, 2Q 실적 우수할 전망

LGU+는 2021년 4분기에 이어 2022년 1분기에도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였다. 이동전화 매출액 성장 둔화와 더불어 영업비용이 늘어 난 것이 주된 실적 부진 사유였다.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비 감소한 것도 부정적이었지만 이동전화 매출액 성장률이 전년동기 비 1.5%로 둔화된 것은 투자가들 사이에서 논란거리가 되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이번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LGU+의 실적 우려는 제거될 것으로 보인다. 전년동기비 연결 영업이익이 6% 성장 한 2,853억원에 달할 것이고 이동전화매출액 성장폭이 2.6%로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LGU+는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에서 2022년 연간 서비스매출액 5% 성장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는데 이는 최근 MNO 휴대폰 가입자 유치 강화 전략에 기인한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순감을 나타내던 LGU+의 MNO 휴대폰 가입자는 최근 순증세로 돌아섰으며 하반기 이후엔 확실한 순증 추세로의 전환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LGU+의 이동전화 매출액 연간 성장률은 3%대로 높아질 전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G U+ 영업비용 통제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대리점 수수료 및 광고 선전비 정체 지속으로 마케팅 비용 정체가 지속될 전망이며 주파수 관련 비용 역시 당분간 하향 안정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1분기 마케팅 비용이 높아진 상황이라 부담이 없다.

 

 

3. 단기 3사 중 가장 매력적, 신뢰 쌓이면서 주가 반등할 것

최근 LGU+ 주가 부진엔 이익/배당 성장에 대한 투자가들의 확신 부족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렇다고 볼 때 현시점에선 LG U+ 적극 매수에 나설 필요가 있다. 2분기 실적 발표 전후 투자가들의 이익 성장에 대한 확신이 생겨남과 동시에 올해도 높은 배당 성장 이 이루어질 것이란 믿음이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LG U+가 KT 대비 주가가 못 올랐고 영업이익 수준으로 볼 때 SKT 대비 시 가총액이 너무 낮다는 점은 투자매력도를 높여줄 전망이다. 장기 DPS 흐름, PERPBR로 보면 절대 저평가 영역이다.

PER(Price Earning Ratio) =P/E
주가수익비율(PER)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나눈 것이다. 즉 어떤 기업의 주식 가격이 10,000원이라고 하고 1주당 수익이 1,000원이라면, PER는 10이 된다.
쉽게 말하면, 현재의 주가가 고평가 받고 있는지 저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이다.
P/E,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PER와 같은 뜻이며, 여기서 /는 나누기÷ 뜻이다.
즉 P(Price, 주식 가격) /(나누기) E(Earnings, 주당순이익)로 이해하면 된다.
PER가 작을수록 주식 가격은 낮은 저평가 기업이라고 볼 수 있다.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PBR =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이다.
순자산은 참고로 손 인계산 서가 아닌 대차대조표에서 총자본을 보면 되고, 혹은 총자산에서 총부재를 빼면 된다.
PBR은 원론적으로는 이 기업이 청산하게 될 경우 주주가 1주당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이다.
PBR=1 일 경우, 딱 1주당 순자산이 같다는 뜻이고 PBR이 1보다 작을 경우 기업 청산 시 순자산가치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보면 된다.

 

*자료출처

2022년 06월 09일 하나금융투자

Analyst 김홍식님과 RA 최수지님의 리포트입니다.

 

 

공식 온라인 스토어 | LG U+

LG유플러스 공식 온라인 스토어에서 휴대폰, 인터넷, 스마트홈, 결합상품, 액세서리를 편리하게 신청하고 다양한 혜택까지 만나보세요.

www.lguplus.com

 


 

HAPPY ROLLRO의 투자연구소 인기글

 

 

 

 

(리포트요약) 엘비세미콘 주가 전망 목표주가, 성장은 지속된다

(리포트요약) 엘비세미콘 주가 전망 목표주가, 성장은 지속된다 [엘비세미콘] 기업개요 지배기업은 2005년 12월 29일 자 임시주주총회 결의에 의해 지배기업의 상호를 마이크로 스케일 주식회

muktraveler.tistory.com

 

(리포트요약)비츠로셀 주가전망 목표주가, 회복의 단초

(리포트요약)비츠로셀 주가전망 목표주가, 회복의 단초 [비츠로셀]기업개요 동사는 리튬일차전지 중 가장 시장이 큰 Li/SOCl2 전지와 Li/MnO2(OEM)전지 분야를 주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음. 리튬일

muktraveler.tistory.com

 

(리포트 요약) 덕산네오룩스 주가 전망 목표주가

(리포트 요약) 덕산네오룩스 주가 전망 목표주가, 매수 기회! [덕산 네오룩스] 기업개요 동사는 전자부품 제조업을 주업종으로 2014년 12월 31일 설립하여, 2015년 2월 6일 코스닥시장에 재상장됨. 201

muktraveler.tistory.com

 

 

(리포트 요약) KCC 실리콘의 영업가치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시총

(리포트 요약) KCC 실리콘의 영업가치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시총 [KCC] 기업개요 동사는 국내 최대의 건축자재 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8년 금강 스레트 공업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이후

muktraveler.tistory.com

 

감사합니다!

성투합시다!

반응형